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모멘텀(momentum)지표
    주식투자/보조지표 들 2018. 9. 21. 07:00

    momentum 지표


    과거보다 지금 주가가 높으면 상승, 과거보다 현재 주가가 낮다면 하락추세라는 간단한 논리로 시작한 보조지표입니다.

    모멘텀지표를 10일로 설정했다면, 10일전 가격을 100으로 볼 때, 오늘 얼마나 올랐는지 떨어졌는지 알 수 있습니다.

    때문에 주가가 모멘텀 100선 아래에 계속있다면, 하락추세로 보고, 위에 있다면 상승추세로 봅니다.




    제가 일목균형표를 사용할 때는 후행스펜이 모멘텀(Momentum)지표와 동일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지만,

    일목균형표 외에 다른 보조지표를 이용할 때는 추가를 해서 사용하는 편입니다.

    일목균형표에 후행스팬처럼 25일 수치로 수정해서 말이죠.


    <잠깐>

    일목균형표의 후행스팬은 뭐죠?

    오늘의 종가를 오늘포함 26일 뒤에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일목산인은 일수를 말할 때 항상 오늘포함이라는 말을 사용했기 때문에 실제로 모멘텀(Momentum)지표에 적용하려면 25일로 해야합니다.

    그렇게 25일 뒤에표시한 후행스팬이 캔들차트보다 위에 있다면 상승추세라고 생각했다는 뜻입니다.


    <사용법>

    모멘텀(Momentum)지표에 100 이라는 숫자가 보입니다.

    그리고, 가로선으로 그어져있습니다.

    이제 Momentum 선이 100 위에서 돌아다니는지, 아래서 다니는지 보기만 함으로서 

    한 눈에 상승/하락장을 대강 판단합니다.





    <응용>

    앞서 그림처럼 모멘텀(Momentum)지표를 하나만 사용하는게 아니라 8, 16, 25 처럼 다른 수치로 넣어서 겹쳐서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이렇게 만든이유는 일목균형표는 26일 이전 수치가, 9와 17이 있기 때문이고.

    이동평균선 이용자들이 하는 말에서 생각한 부분이 있습니다.



    <<주가가 바닥에서 60일선 위로 올라오는 과정을 표현하겠습니다.>>

    계속 떨어지기만 하던 주가가 처음 상승 하려고 합니다.

    상승하다가 5일선에 맞고 다시 떨어집니다.

    떨어지다가 주가가 다시 올라서 5일선 뚫고 위로 올라옵니다.

    다시 주가가 떨어지지만, 5일선 위에서 멈췄습니다.


    5일선 위에서 있던 주식이 상승하다가 20일선에 닿더니 떨어집니다.

    하지만 5일선 위에서 멈추고, 더이상 떨어지지 않습니다.

    다시 상승해서 20일선을 뚫고 위로 올라옵니다.

    다시 주가가 떨어지지만 20일선 아래로 떨어지지 않습니다.


    다시 주가가 상승하더니 60일선을 맞고 떨어집니다.

    하지만 20일선에서 멈춰서 더 떨어지지 않습니다.

    다시 주가가 오르더니 60일선을 뚫고 올라갔고

    60일선 위에 머무릅니다.


    큰 움직임이 있기 전에는 작은 움직임들이 먼저 포착된다는 뜻입니다.

    물론 제가 적은 시나리오와 똑같진 않겠지만 

    월봉이 움직이기 전에 주봉이 움직이고, 주봉이 움직이기 전에 

    일봉이 움직일 수밖에 없듯. 

    큰 파동에서 움직임이 예측될 때 

    정교한 움직임은 그 보다 더 작은 파동에서 시작한다는 뜻 입니다.

    그래서 작은수치로 예비를 합니다.


    <정리>

    잠깐 옆길로 샌 것 같아서 정리합니다.

    모멘텀 지표는 가로 100선보다 Momentum 선이 

    높은지/낮은지로 상승추세와 하락추세 여부를 

    파악한다 였습니다


    '주식투자 > 보조지표 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톡캐스틱 지표(Stochastic)를 이해하고 계신가요?  (1105) 2018.10.15
    Band%B 지표  (386) 2018.09.21
    엔벨로프(Envelop)  (0) 2018.09.19
    매물대분석차트  (6) 2018.09.18
    삼선전환도  (1) 2018.09.02

    댓글

Designed by Tistory.